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514)
T42 포멧 후 최초 설치 시 주의사항 .NET framework와 Microsoft installer 설치 후, 비디오드라이버와 이더넷카드드라이버를 설치 한다. 그뒤 소프트웨어인스톨러를 설치 하고 자동설치하는 것이 제일 편리한다. (비디오드라이버도 자동으로 설치해도 상관없지만 모니터반응속도가 느리기때문에 먼저 설치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무선랜카드 드라이버는 자동으로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수동으로 설치한다. 무선랜카드 드라이버를 설치한다고 해서 Fn+F5 키가 먹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아래의 설명을 참조한다. 무선랜 드라이버 설치 후, access connections 설치 후, 반드시 software installer를 실행해서 hotkey feature를 업데이트 해야한다고 IBM사이트 메뉴얼에 영문설명으로 나와있음. 무선랜 ..
T42 드라이버 설치하면서 TPM 드라이버 설치한 뒤 "알수없는 장치"가 하나 잡히지 않을때 파워매니지먼트 드라이버가 잡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레노보사이트에서 acpi로 검색한 뒤 드라이버를 설치해준다.
최대절전모드 사용하기 윈도우XP에는 최대절전모드라는 기능이 있다. 예를 들어 노트북을 닫을때 최대절전모드가 실행되도록 설정해 놓았다면, 사용 후 노트북을 닫으면 그당시 사용하던 모든 파일들의 정보를 hiberfill.sys 에 저장하고 전원을 끄게된다. 그리고 다시 노트북의 전원을 켜게되면 일반적인 윈도우 부팅과정을 거치지 않고 앞에서 저장했던 hiberfill.sys 파일을 읽어서 윈도우를 시동한다. 기존의 윈도우 부팅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다. 총 소요되는 시간은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고나서 3초정도? 그것도 앞서 사용하던 프로그램들이 모두 떠있는 상태에서. Thinkpad 사용자는 노트북을 덮고 나서 뚜껑 윗부분에 있는 초승달 모양의 LED가 깜빡깜빡 거리다 멈추는 것을 확인하고 나서 가방에 넣으면 끝. (초..
T42, T60 드라이버 모음 IBM 사이트의 각 모델별 드라이버 모음 OS는 Windows XP Profasional SP2 T42 2373-KQJ T60 2613-A53
T60 SM 버스 컨트롤러 드라이버가 잡히지 않을때 Windows XP를 인스톨할때 공장초기화를 이용하지않고 직접 수동으로 설치할때 SM 버스 컨트롤러 드라이버가 잡히지 않을때가 있다. 이것은 intel chipset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은것으로 레노버 사이트에서 다운받아서 설치하면 된다.
T42 잡히지 않는 드라이버 모든 드라이버를 설치했는데 장치관리자에서 알수없는 장치가 있을때 거의 대부분 TPM 이 원인이다. 레노보 사이트에서 TPM으로 검색해서 드라이버를 찾으면 된다. ---------------------------- Atmel TPM (Trusted Platform Module) 장치 드라이버 (Windows 2000, XP) - ThinkPad R60, R60e, T42, T42p, T60, T60p, X41, X41 Tablet, X60, X60s, X60 Tablet, Z60m, Z60t, Z61e, Z61m, Z61p, Z61t 이 패키지는 Microsoft Windows 2000/XP 사용자를 위해 Trusted Platform Module (TPM) 드라이버를 제공합니다. 이 릴리즈는 다음의 시스..
Thinkpad 삼형제 회사에 두고 사용하던 T42를 집에서 쓸일이 있어서 간만에 들고왔다. 오랜만에 TP 삼형제가 모였다. 맨 오른쪽부터 R30, T42, T60 깜빡하고 T42 아답타를 안가져왔는데.. R30, T60과도 전원아답타가 호환이 안돼네....이런....-_-a 고이 모셔뒀다 월요일 출근할때 그대로 들고가야겠다. T42와 T60은 보안필름때문에 모니터가 어두워 보인다.
일본어키보드 매핑해서 사용하기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T42는 일본어키보드이다. 옆직원은 불편하지 않냐고 물어보는데 한글/영문은 외우고 있으니 불편한것은 없고 어떤면에서는 더 편하다. Thinkpad는 T60에 와서야 키보드에 윈도우키를 포함시켰다. 그래서 기존의 T42 한글키보드는 윈도우키, 메뉴키 등이 없다. 일본어키보드는 한글/영문키보드보다 키숫자가 많아서 매핑만 하면 윈도우, 메뉴키등등 마음대로 설정해서 사용할 수 가 있다. 집에서 사용하는 T60 한글키보드. 윈도우키, 메뉴키등이 새로 추가되었다. 회사에서 사용하는 T42 일본어키보드 제일 밑 맨왼쪽의 노란색 동그라미 '무변환'키를 윈도우키로, 그다음 '히라가나/가타가나'변환키를 한/영 변환키로, 그다음 Alt키를 메뉴키로, 맨오른쪽 Ctrl키를 한자키로 매핑해서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