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514)
Ellsworth Moment. 산타 블러에서 엘스워스 모멘트로 갈아탔다. 산에서 내려올때마다 항상 살짝 불안해서(사실 실력이 없어서 이겠지만.. -_-) 올마운틴으로 한대 지를까 고민에 고민을 거듭했었는데 마침 좋은 기회가 와서 기변을 했다. 포크는 마조찌 130~150 가변샥에 리어샥은 500방 스프링샥. 멀리는 못가고 집근처 공원 계단에서 내리막질 좀 해줬는데 역시 안정감은 스프링샥이 최고다. 아무리 급경사 계단이라도 스냥 드르륵. 하고 별 반동없이 지나가준다. 평지나 업힐은 좀 힘들어 지겠지만 산에서는 훨씬 재밋게 탈 수 있다. 나머진 엔진만 좋아지면 해결되는 문제이고. 아노다이징 블랙컬러. 사이즈 M 인데 몸에 아주 잘 맞다. 마조찌의 올마운틴 150미리 포크가 물건이다. XC 에서 올마운틴으로 바뀌었을 뿐인데 이렇게 더 힘들..
Chris Akrigg Teocali.0 멋지구만~!
구글맵 API 사용하기. 구글맵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구글 API 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인증과정을 거쳐야 한다. MD5 fingerprint 를 구해야 하는데 일종의 개발자 지문이랄까.. 그렇다고 해서 실제 지문으로 인증하는 것은 아니고 개발하는 컴퓨터를 기준으로 인증을 한다. 따라서 컴퓨터가 바뀌면 재인증을 해야 정상적으로 API 를 사용할 수 있다. MD5 fingerprint 를 구하기 위해서는 keytool 을 사용하는에 이것은 컴퓨터에 설치한 JDK 디렉토리에 들어있다. java 가 path 에 잡혀있지 않다면 좀 불편하다. 먼저 사용자 디렉토리 밑의 .android 디렉토리 밑으로 이동한다. debug.keystore 파일이 보일것이다. 여기에서 커맨트 창을 띄워서 아래의 명령을 실..
IntelliJ IDEA 라이브러리 환경 세팅하기. 안드로이드 API 같은 경우 PC에 설치하고 난 뒤 IntelliJ 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API 를 찾아내서 환경설정에 포함시킨다. 하지만 도중에 API 경로를 바꾼다던지 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자동으로 재설정 해주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Global Libraries 쪽에 설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 잘못된 라이브러리는 Detach 하고 새로운 설정을 Attach 한다. 그래도 설정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가장 간단한 방법은 새로운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새롭게 설정한 플랫폼으로 잡아주면 다른 프로젝트들도 자동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Droid Draw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UI 디자인용 에디터이다. 화면을 디자인 하면 xml 파일로 생성해준다. 안드로이드용 답게 자바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사용자 컴퓨터에 JRE 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Windows 7 X64 버전에서 알약 사용하기. Windows 7 X64 버전을 처음 설치했을때 제대로 실행되는 백신프로그램이 거의 없어서 MS 의 Microsoft Security Essentials 를 설치했었다. 아니나 다를까. 얼마 지나지 않아서 몇가지 업데이트를 했는데 그 중 백신 관련 업데이트중에서 정품인증을 받지 않으면 계속 alert 창이 뜨게하는 항목이 있었던 모양이다. 기본적으로 한달동안은 사용할 수 있게 만든것 같은데, 이제 하루가 지났는데도 위의 저 alert 창을 하루종일 몇번을 보여주는지 모르겠다. 그렇게 되면 다른것을 찾을 수 밖에. 인터넷을 뒤져보니 알약이 64비트 버전에선 설치만 안될뿐이지 사용하는데는 지장이 없다는 글이 많다. 뭐 그럼 나도 한번 해볼까해서 실행해보니.. 음. 잘 돌아간다. 우선 64비트가 아닌 다른 컴..
Windows 7 에서 사용자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C:\net user Administrator /active:no * 띄어쓰기 주의. 필요한 계정(ex: Administrator)을 활성화(yes) 또는 비활성화(no) 한다.
커서 옆에 언어설정 보여주는 프로그램. 개발을 하다보면 지금 언어가 한글인지 영문인지 또는 소문자인지 대문자인지 잘 모를때가 있다. 타이핑을 해봐야지 알 수 있는데.. 또는 작업표시줄의 언어설정을 보거나. 커서옆에 현재 설정된 언어를 조그많게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다. 코딩할때가 아니더라도 일상적인 사용에도 아주 편리하다. 실행파일이 아니라 더블클릭해서 압축을 풀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