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18)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이패드 단축어 등록하기 아이패드를 개인용/업무용도로 잘 쓰고 있는데 사무실에서 열때 가끔 집에서 듣던 음악이나 영화 오디오가 크게 들려서 난처할 때가 있다.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단축어 자동화를 등록해둔다. 설정에서 단축어앱 선택.상단의 '+' 선택해서 단축어 추가.나같은 경우는 집에서 떠날때, 회사에 도착할때 볼륨을 0%로 설정. 자동화를 추가하면 개인용 자동화 메뉴가 뜨는데 도착이나 떠날때를 선택한다.위치는 해당 주소를 선택하면 되는데 혹시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찾지 못할때를 대비해서 지도상에서 주소 범위를 넓게 설정.임의 시간을 선택하고 즉시 실행을 선택한다.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서 새로운 빈 자동화 > 제어항목 > 음량설정에서 볼륨을 0%로 설정하고 완료 터치.자동화 화면에 설정된 항목이 보인다. 이제 집에서 나올때 아.. 리벤지 조행 08월09일(토)~10일(일)지난번 피드 이후 한번 더 나갔던 인천권 섬조행에서 대상어인 농어는 한번도 만나지 못했고 광어만 만났다.물때도 신경쓰고 새로운 미노우도 여럿 장만했지만 농어는 입질이 없다.서울은 33도인데 이곳 기온은 여전히 25도 정도에 바람이 불면 약간 시원함을 느낄 정도의 날씨다.수온을 확인해보니 충분히 높다. 지난번처럼 냉수대는 아니다. 도착후 민박집에서 여장을 풀고 간단하게 점심 먹고 포인트로 출동. 오라는 농어 입질은 없고 광어만 계속 올라온다.일단 저녁 먹거리를 위해서 킵. 해질녘의 섬 풍경.첫째날은 이렇게 광어만 만나고 마무리한다. 다음날은 새벽 물때를 노려서 05시30분에 포인트 진입.열심히 미노우를 날렸지만 여천히 농어 입질은 없었다. 이튿날도 광어만 잡고 이번 조행 종료.. 섬 조행기 지난 봄 추자도 조행 이후 인천권 섬으로 두번 조행을 다녀왔으나 조과기 시원찮았다.올해는 이상하리만큼 수온이 올라가지 않아서 예년 만큼의 조황을 기대하기 어려운데 아마도 7월말이 지나가야 예전만큼 살아나지 않을까 생각된다.특히 지난 7월12일 조행에는 서울은 30도 중반대의 찜통 더위인데 그곳은 낮 최고기온이 24도 정도였다.10도 가까이 차이가 나서 한낮에도 그렇게 덥지 않다는 느낌이 들 정도였는데 이게 조행에는 좋지 않은 징조였다.당연하다. 냉수대가 들어왔다는 의미이니까.아니나 다를까 첫 고기로 노래미가 올라오길래 농어는 쉽지 않겠다라는 느낌이 들었다. 06월07일(토)~08일(일)기존에 항상 들르는 민박집에 예약이 꽉차는 바람에 처음 가보는 섬 반대쪽 민박집으로 예약.지도로 확인한 포인트는 그럴.. 추자도 조행 오랜만에 시간을 내서 3월29일 - 4월1일 친구와 추자도 조행을 다녀왔다.첫날은 저녁 비행기로 내려가서 항구 근처에서 잠만 잤으니 실제로는 2박3일 조행인 셈이다.토요일 오후에 엄청 막히는 서울시내를 동에서 서로 뚫고 겨우겨우 지나가면서 혹시나 늦으면 어쩌나 걱정이었는데 다행히(?) 비행기 출발이 지연되어 적당한 시간에 도착했다.숙소는 연안여객터미널 근처의 체크인 호텔을 잡았는데 토요일 숙박에 5만원이니 아주 저렴하다.시설 수준은 리모델링이 필요한 낙후된 변두리 건물같으나 지나가는 낚시인에겐 아무 문제 없음. 일요일 첫배를 타고 추자도 입도.미리 예약해둔 민박집 여사님이 스타렉스로 마중을 나오셨다.친구가 몇번 방문했던 집인데 포인트 가깝고 여사님 손맛도 좋아서 강추한 집이라 2박3일을 이곳으로 예약했다.. 추천의 종류 및 개념. 추천의 종류 및 개념. 추천에는 몇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아이템 자체의 내용을 분석해서 하는 추천하는 방법과 사용자들이 아이템을 평가한 이력을 분석해서 추천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각 방법의 정확한 개념과 기본적인 사용법을 정의해본다. User-based Collaboration Filtering Item-based Collaboration Filtering Content-based Filtering 사용자 A 가 선호하는 아이템을 사용자 B 에게 추천한다. 사용자 A 와 B 의 연결고리는 유사도만 있다. Cold-start 단점이 있다. 사용자 A, B, C, D, E 모두 아이템 X 를 가지고 있다. B, C, D, E 가 모두 아이템 X 와 아이템 Y 를 좋아한다면 아이템 X 와 Y 의 유사도는 높.. 화면 개발을 위한 몇가지 요소들. 화면개발을 위한 몇가지 요소들. web application 에서는 backend 못지않게 frontend 도 중요하다. 아무리 성능이 좋아도 사용자를 위한 UI 가 시원찮다면 저평가를 받게 되어있다. 화면을 개발할때 ui frameworks, components 등의 용어들이 사용되는데 개발시에 여러 용어들을 정확하게 정의하지 않고 혼용되면서 구성원들 간에 혼란이 발생할 수 있는데 용어부터 정확하게 정리해본다. UI Frameworks JavaScript Frameworks UI Components Frontend Frameworks 와 같의 의미이다. CSS 컨트롤이 필요하며 개발자보다는 디자이너나 퍼블리셔의 역량이 필요하다.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서 적절하게 customizing 해서 사용한다. 한번.. Spring Framework 에서 Batch 구현하기 Spring Framework 에서 Batch 구현하기 일반적으로 batch 작업은 일련의 작업을 몇개의 단위로 묶어서 연속적으로 일괄처리해주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일정시간(주로 야간)에 정기적으로 실행하거나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서 실행된다. 규칙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scheduler 를 사용하며 background 에서 실행되기 위해서 thread 로 작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몇가지 방법이 있는데, spring framework 에서는 1. 단순한 단일 작업이냐 아니면 2. 선/후행 작업으로 나눠지는 복잡한 작업이냐에 따라서 구현 방법을 달리한다. 전자의 경우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고 thread 로 실행시킨다. 정기적으로 실행하는 경우는 scheduler 를 붙여서 구현한다... Intellij Idea 에서 JUnit 사용하기. Intellij Idea 에서 JUnit 연동하고 사용하기. intellij 가 버전업이 되면서 기존에 maven 프로제트 생성했을때 main 과 같은 depth 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던 test 디렉토리가 사라졌다. 이제 단위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test 디렉토리를 생성해주어야 한다. 개발환경 JDK 1.8 Spring Framework 4.3.7 RELEASE MAVEN 3 Windows 10 프로젝트 환경설정에서 src 밑에 test > java 를 생성하고 java 디렉토리를 Tests 로 설정을 해준다. 소스상에서 테스트를 원하는 클래스명 위에 커서를 올린다음 alt + enter 를 치면 메뉴가 출력되는데 그중에서 create test 로 테스트할 클래스를 생성한다. destinati.. 이전 1 2 3 4 ··· 65 다음